아키시노노미야 히사히토 친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키시노노미야 히사히토 친왕은 2006년 9월 6일, 일본 황족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과 아키시노노미야 키코의 셋째이자 외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965년 이후 일본 황실에서 태어난 첫 남자아이였으며, 그의 탄생은 황위 계승 문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재 황위 계승 순위 2위이며, 잠자리 연구 등 학술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키시노노미야 - 고무로 마코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의 장녀인 고무로 마코는 국제기독교대학 졸업 후 미술사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고무로 게이와의 결혼으로 황족 신분을 상실하고 현재 미국 뉴욕에 거주하고 있다. - 아키시노노미야 - 후미히토 친왕비 기코
후미히토 친왕비 기코는 평민 출신으로 후미히토 친왕과 결혼하여 마코, 가코 두 딸과 히사히토 왕자녀를 두었으며, 사회복지 및 자선 활동에 참여하고 학문적 업적도 이룬 황사비이다. - 일본의 친왕 - 고레야스 친왕
고레야스 친왕은 1266년에 태어나 3세의 나이에 세이이타이쇼군에 취임했으나, 호조 씨에 의해 해임되어 교토로 돌아간 후 출가하여 사망했다. - 일본의 친왕 -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은 다이쇼 천황의 아들이자 쇼와 천황의 동생으로, 육군 장교 복무 후 역사학을 전공하여 고대 오리엔트사 연구에 매진하며 일본의 역사 왜곡에 비판적인 평화주의 학자였다. - 2006년 출생 - 다랴 바르폴로메프
- 2006년 출생 - 카밀라 발리예바
2006년 러시아에서 태어난 피겨 스케이팅 선수 카밀라 발리예바는 주니어 세계 챔피언, 시니어 그랑프리 우승 등 뛰어난 기량을 보였으나,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도핑 논란으로 경력에 타격을 입었다.
아키시노노미야 히사히토 친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히사히토 친왕 |
원래 이름 | 아키시노노미야 히사히토 친왕 |
한자 표기 | 秋篠宮悠仁親王 |
로마자 표기 | Hisahito Shinnō |
칭호 | 친왕 |
경칭 | 전하 |
오시루시 (symbol) | 고야마키 |
출생일 | 2006년 9월 6일 |
출생지 | 일본 도쿄도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 온시 재단 모자 애육회 아이이쿠 병원 |
가문 | 일본 황실 |
아버지 |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 |
어머니 | 기코 비 |
왕실 스타일 | |
스타일 이름 | 친왕 |
호칭 스타일 | 히사히토 친왕 전하 |
영어 호칭 | His Imperial Highness Prince Hisahito |
기타 | |
![]() |
2. 탄생
아키시노노미야 히사히토 친왕은 2006년 9월 6일 JST 오전 8시 27분 (UTC 23시 27분)에 도쿄 아이이쿠 병원에서 제왕 절개로 태어났다. 임신 중 합병증으로 인해 2주 일찍 태어났다.[1]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과 아키시노노미야 키코의 3남매 중 막내이자 외아들로,[3] 고무로 마코와 가코 여왕 두 누나가 있다.
히사히토라는 이름은 궁내청에 따르면 "고요하고 덕스러운"을 의미하며, "덕이 있고, 침착하며, 영원한"을 의미하기도 한다.[3] 1965년 아버지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 출생 이후 일본 황실에서 41년 만에 태어난 첫 남자아이였다. 2006년 9월 15일, 아이이쿠 병원 밖에서 처음으로 대중에게 모습을 드러냈다.[3]
2. 1. 탄생 과정
히사히토 친왕은 2006년 9월 6일 JST 오전 8시 27분 (UTC 23시 27분) 도쿄 아이이쿠 병원에서 제왕 절개로 태어났다. 임신 중 합병증으로 인해 2주 일찍 태어났다.[1] 아버지는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 어머니는 아키시노노미야 키코 비이다. 고무로 마코, 가코 여왕 두 명의 누나가 있다.
2006년 9월 15일, 아이이쿠 병원 밖에서 처음으로 대중에게 모습을 드러냈다.[3] '히사히토'라는 이름은 궁내청에 따르면 "고요하고 덕스러운"을 의미하며, "덕이 있고, 침착하며, 영원한"을 의미하기도 한다. 1965년 아버지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의 출생 이후 일본 황실에서 41년 만에 태어난 첫 남자아이였다.
2007년 1월, 아베 신조 총리는 여성이 왕위를 계승할 수 있도록 황실전범을 개정하려는 이전의 제안을 철회했다. 히사히토 친왕의 출생으로 인해, 나루히토 천황의 딸인 아이코 공주가 여왕이 될 수 있도록 법이 변경될 가능성은 낮아졌다.[4]
2006년 (헤이세이 18년) 2월 7일 아침, 후미히토 친왕비 키코가 아키시노노미야 저택에서 초음파 검사를 한 결과, 태아의 심박이 확인되어 임신 6주째라고 궁내청 장관 하모다 신고가 발표했다.[18][19][20] 2월 24일에는 "아키시노노미야 비전하가 임신 3개월이다"라고 궁내청이 공식 발표했다. 입덧 등의 증상이 있었지만, 두 번째 검사에서는 순조로운 경과가 확인되었다고 아이이쿠 병원[21] 원장 나카바야시 마사오가 발표했다.[22][23] 아키시노노미야 부부의 의향에 따라 성별 사전 검사는 실시되지 않았다.[24]
2006년 (헤이세이 18년) 8월 16일 오후, 후미히토 친왕비 키코가 진통으로 인해 남편 아키시노노미야가 동행하여 도쿄도 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에 있는 아이이쿠 병원에 입원했다.[25][26] 같은 날, 주치의인 나카바야시 원장 등이 회견을 열어 조산의 우려 등이 있어 제왕 절개 처치를 할 것을 발표했다(황실 사상 처음으로 제왕 절개에 의한 출산).[27][29] 황실에서 천황 일족의 출산으로 황거 내 산전, 궁내청 병원이 아닌 장소가 사용된 것은 사상 처음이었다.[28] 2006년 (헤이세이 18년) 9월 6일 오전 8시 27분에 출생했으며,[29] 출생 시 신장은 48.8cm, 체중은 2558g이었다.[30] 가코 내친왕 이후 12년 만의 아키시노노미야 가문의 자녀 탄생이며, 아이코 내친왕 탄생 이후 5년 만, 아버지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 이후 40년 9개월 만의 황족 남자(친왕 및 왕[31])였다. 그 전까지는 키요코 내친왕에서 아이코 내친왕까지 9명 연속 여자였다. 탄생 당시 황위 계승 순위는 제3위였다.
탄생 당일에는 어검의 의식이 거행되어 조부인 제125대 천황 아키히토로부터 수호도(아마다 쇼지 작)가 증정되었다.[32] 9월 12일, 명명의 의식이 거행되어 "'''히사히토'''"라고 이름 지어졌다. "느긋한 마음으로 오랫동안 인생을 걸어가기를 바라며", 또한 과거 황족과의 중복을 피하면서 음과 의미를 중시하여 아버지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이 글자를 골랐다.[33] 가족들로부터는 "유우유"라는 애칭으로 불리고 있다.[34] 어인은 고야마키이며, "크게, 곧게 자라기를 바란다"는 마음이 담겨 있다.[33]
9월 15일 아이이쿠 병원에서 퇴원할 때, 저택이 있는 아카사카 어용지까지의 연도에는 약 1800명이 모였다. 경비는 경시청의 기동대 등 총 1200명 규모로 이루어졌다.[35]
탄생 전 해인 2005년 (헤이세이 17년)에는 황족 남자의 감소로 인해 황위 계승 문제가 표면화된 것도 있어, 각지에서 봉축을 맞이했다. 메이지 신궁을 비롯하여, 각지의 신사・신사청에서 가마의 봉납・등롱 행렬・봉축 행진 등 축하 행사가 열렸다. 히사히토 친왕의 탄생으로 인해, 황통 단절의 위기가 당분간 해소되면서, 황실전범 개정안의 제출은 보류되었다.[29][36]
2. 2. 탄생 배경과 황위 계승 논쟁
히사히토 친왕은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과 아키시노노미야 키코 사이에서 2006년에 태어났다. 이는 1965년 아버지 후미히토 친왕 이후 41년 만의 황족 남성 탄생이었다.[4]히사히토 친왕 탄생 이전, 일본 사회는 황족 남성 감소로 인해 황위 계승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 2005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은 여성·여계 천황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황실전범 개정안을 검토했다. 하지만, 히사히토 친왕의 탄생으로 인해 이 개정 논의는 보류되었다.[4] 2007년 1월, 아베 신조 총리는 황실전범 개정 제안을 철회한다고 발표했다.[4]
히사히토 친왕의 탄생으로, 나루히토 천황의 딸 아이코 공주가 여성 천황이 될 가능성은 낮아졌다.[4] 그러나 여성 황족이 결혼 후에도 황실에 남아 의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문제는 여전히 논쟁거리로 남아있다.[5]
현재, 황실에서 유일한 미성년 황위 계승 자격자이다.
3. 성장 과정
고등학교 학업과 병행하여 생물학에 관한 연구를 진행, 고등학교 2학년 때 연구 성과를 학술 잡지에 발표했다.[63] 2024년 8월 25일에는 교토시에서 열린 제27회 국제 곤충 학회 개회식에 초청받아 첫날에만 사적으로 참가했다.[64]
3. 1. 교육
2010년 봄, 오차노미즈 여자대학 부속 유치원에 입학했다. 2013년 4월, 궁내청은 히사히토가 오차노미즈 여자대학 부속 초등학교에 입학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히사히토는 가쿠슈인 초등과가 아닌 다른 학교에서 교육을 받는 일본 황실 최초의 구성원이 되었다.[6] 2학년 때, 학교에서 잘 지내며 1학년 학생들을 돌보고 친구들과 함께 노는 것으로 알려졌다.[7] 2019년 4월, 오차노미즈 여자대학 부속 중학교에 입학했다.[8]2021년 3월, 기타큐슈시 제12회 어린이 논픽션 문학상 중학생 부문에서 2등상을 수상했다.[11] 2022년 2월, 오가사와라 제도 여행에 관한 수상 에세이 표절 혐의를 받았다.[12][13] 궁내청과 히사히토는 에세이 인용이 "부적절"하다고 인정했으며, 히사히토는 수정을 거쳐 상 주최 측에 연락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상은 취소되지 않았다.[12]
2022년 4월, 筑波大学附属中学校・高等学校|쓰쿠바 대학 부속 고등학교일본어에 입학했다.[14] 고등학교 학업과 병행하여 생물학 연구를 진행, 고등학교 2학년 때 연구 성과를 학술 잡지에 발표했다.[63]
2024년 8월 25일, 교토시에서 개막한 제27회 국제 곤충 학회 개회식에 초대를 받아 첫날에만 개인적으로 참가했다.[64]
정해진 제왕학 스승은 없지만, 교육은 어머니인 키코 친왕비가 주도하며, 2018년에는 작가 반도 가즈토시에게 근대사(태평양 전쟁) 강의를 받았다.
3. 2. 주요 활동
2019년 8월, 부모와 함께 부탄을 공식 방문했다. 이는 히사히토 친왕의 첫 해외 방문이었다.[10]2024년 8월 25일, 교토시에서 열린 제27회 국제 곤충 학회 개회식에 초청받아 첫날에만 사적으로 참가했다.[64]
4. 학술 연구
히사히토는 고등학교 학업과 병행하여 생물학, 특히 잠자리 연구에 매진하였다. 2023년, "아카사카 어용지의 잠자리상 - 다양한 환경과 사람의 손에 의한 유지 관리"라는 연구 논문을 국립과학박물관 연구보고 A류(동물학)에 발표하였다.[73]
5. 논란
히사히토는 작문 표절 의혹, 암살 시도 미수 사건 등 여러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5. 1. 작문 표절 의혹
2021년 3월, 히사히토 친왕은 기타큐슈시에서 주최한 제12회 어린이 논픽션 문학상 중학생 부문에서 2등상을 받았다.[11] 2022년 2월, 히사히토 친왕이 제출한 오가사와라 제도 여행에 관한 에세이가 표절 의혹을 받았다.[12][13] 궁내청과 히사히토 친왕은 에세이의 인용이 부적절하다고 인정했으며, 친왕은 수정을 거쳐 상 주최 측에 연락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상은 취소되지 않았다.[12]5. 2. 암살 시도 미수 사건
2019년 4월, 오차노미즈 여자대학 부속 중학교에 재학 중이던 히사히토 친왕의 책상 위에 과일칼이 놓이는 사건이 발생했다.[9] 경찰은 이 사건을 히사히토 친왕에 대한 암살 시도 미수 사건으로 보고 수사했다. 체포된 남성은 황실 제도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고 진술했으며,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집행유예로 풀려났다.6. 계보
- 왼쪽부터 장자 순으로 나열되었다.
'''신무 천황'''부터 '''고다이고 천황'''까지의 가계도는 다음과 같다.
{{familytree | Kor | | Fus | | | | His | | | | Ud2 |Kor=1264년–1326년
고레야스 친왕
6. 1. 가계도
후미히토 친왕아키히토(상황)
쇼와 천황
고준 황후
미치코(상황)
쇼다 히데사부로
쇼다 후미코
기코 비
가와시마 다쓰히코
가와시마 다카히코
가와시마 노리코
가와시마 가즈요
스기모토 가스케
스기모토 에이코